a 한국생산기술연구원
b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과
c 비츠로셀
d 영풍
a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ncheon 21655, Republic of Korea
b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Republic of Korea
c VITZRO CELLl Co., Ltd., Dangjin 31816, Republic of Korea
d YOUNG POONG Co., Ltd., Ansan 15604, Republic of Korea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
- MgCr2O4의 형성 : MgCr2O4는 MgO와 Cr2O3가 존재하 는 고온에서 형성될 수 있는 안정한 화합물로[16], 산 세 공정시 MgO와 산과의 반응으로 인해 발생한 열이 Cr2O3와 MgO 사이의 반응이 발생하여 MgCr2O4가 형 성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불순물의 존재 : 산세공정에 사용되는 시약 또는 실험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는 불순물 또는 기타 오염 물질 이 존재하면 반응을 방해하거나 최종 제품의 품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열역학적 계산을 통해 최대합성온도가 2,700°C까지 상승할 수 있으므로 반응 온도 감소 및 입자 성장 억 제를 위한 희석제 첨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최종 적으로 Cr2O3 + 3Mg + 2NaCl → 2Cr + 3MgO + 2NaCl 최적 연소 합성 공정 조건을 도출하였다.
다양한 산세 공정에 따른 Cr 물성 평가를 통해 최적 의 산세 공정 조건을 도출하였으며, 모든 조건에서 MgCr2O4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산세 공정 시 발 열반응으로 인해 잔여 Cr2O3와 MgO의 반응으로 생 성되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산세 공정 시 온도 제어를 통한 MgCr2O4 생성 억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최종적으로 조건 별 제조된 Cr 분말을 다양한 분석 장비를 활용한 물성평가를 통해 미세한 구형 분말이 응집되고 다른 불순물이 제거된 Cr 분말이 제조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XRF, Oxygen 분석 결과 Cr 성분 분석 결과 98.95%, 산소함량은 평균 2.7%를 가진 분 말이 제조됨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고순도 Cr 분말 내의 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 공정 최적화 관련 연구를 진행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