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OPEN ACCESS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J Powder Mater > Volume 30(5); 2023 > Article
Article
고속 화염 용사법으로 제조된 WC계 Cr3C2 코팅과 WC계 YSZ 코팅의 마찰 및 마모 거동 연구
박태준, 이계원, 오윤석*
Tribological Behavior Analysis of WC-Ni-Cr + Cr3C2 and WC-Ni-Cr + YSZ Coatings Sprayed by HVOF
Tae-Jun Park, Gye-Won Lee, Yoon-Suk Oh*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2023;30(5):415-423.
DOI: https://doi.org/10.4150/KPMI.2023.30.5.415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23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천분원, 엔지니어링소재센터

Korea Institute of Ceramic Engineering and Technology, Engineering Ceramic Center, Icheon 17303, Republic of Korea

* Corresponding Author: Yoon-Suk Oh, Ph.D., TEL: +82-31-645-1442, FAX: +82-31-645-1492, E-mail: ysoh30@kicet.re.kr
- 박태준: 연수연구원, 이계원: 학생연구원, 오윤석: 수석연구원
• Received: October 13, 2023   • Revised: October 26, 2023   • Accepted: October 26, 2023

©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361 Views
  • 3 Download
prev next
  • With the increasing attention to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particulate matter globally, the automotive industry has also beco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particulate matter, especially particulate matter generated by automobile brake systems. Here, we designed a coating composition and analyzed its mechanical properties to reduce particulate matter generated by brake systems during braking of vehicles. We designed a composition to check the mechanical properties change by adding Cr3C2 and YSZ to the WC-Ni-Cr composite composition. Based on the designed composition, coating samples were manufactured, and the coating properties were analyzed by Vickers hardness and ball-on-disk test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s, we found that the hardness and friction coefficient of the coating increased as the amount of Cr3C2 added decreased.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hardness of the coating layer decreased when YSZ was added at 20vol%, but the friction coefficient was higher than the composition with Cr3C2 addition.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의 배기관과 비배기관에서 발생하는 미세 입자는 환경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1, 2]. 차량 운행시 발생하는 미세 입자를 줄이기 위해 자동차 산업계는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으 며, 노력의 일환으로 내연 기관 자동차에서 전기 자동차 등 친환경 자동차로의 전환을 수행하고 있다[3, 4]. 그러나 친환경 자동차로 전환되며 전반적인 차량 무게가 증가하 고 있으며, 차량 무게 증가에 따라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배출량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5]. 이 렇게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발생한 미세 입자는 호흡기로 쉽게 흡입될 수 있으며, 생체 내 조직과의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염증과 관련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6]. 브레이 크 시스템은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운동 에너지를 브레 이크 디스크와 패드 간의 마찰을 통하여 회전 운동 에너 지를 감소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7, 8]. 브레이크 디스크 의 소재로는 회주철(Gray Cast Iron, GCI)계 금속 소재가 사용되며, 회주철 브레이크 디스크는 대기 습도와 도로에 존재하는 염분에 취약하기 때문에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 록 제동시 발생하는 미세 입자의 배출량이 증가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9].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앞선 연구에서 회주철에 WC-Ni-Cr 및 WC-Ni-Cr +Cr3C2을 코팅하여 제동시 브레 이크 패드에 의한 코팅층의 마모에 대한 저항성과 코팅 층의 경도를 높이는 연구를 수행하였다[10]. 세라믹과 금 속 물질이 혼합되어 구성된 Cermet(Ceramic +Metal ) 코 팅은 고경도의 세라믹 입자와 binder 역할을 하는 금속 분 말을 혼합함으로써 코팅층에 높은 경도와 뛰어난 인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1]. 이처럼 높은 경도와 뛰 어난 인성을 지닌 표면의 특성은 코팅의 내마모성(wear resistance)을 향상시키며 마모율(wear rates)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또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효과적 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제동 상황과 온도 및 습 도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마찰력을 유지해야 한다[13]. 제 동 시에 발생하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패드 표면 간의 상 호작용은 접촉 부위의 온도를 증가시키며, 이러한 고온에 서의 마모 거동은 제동 성능에 영향을 주게 된다[7]. 이와 관련하여 NiCr-Cr3C2 조성과 ZrO2+ Y2O3 조성을 플라즈 마 용사 코팅을 통해 시편을 제작하여 분석을 진행한 결과 두 소재 모두 고속 및 고에너지 제동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마찰 계수와 열차폐 효과가 존재함이 알려져 있다[14].
플라즈마 용사 코팅 기술은 공정 제한성이 낮아 대면적 코팅이 가능하다. 또한 손실부에 대한 보수가 가능하여 항 공, 우주, 자동차 등의 방대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 고 있다[15]. 이 기술은 주로 소재의 내마모나 내식성 등 의 표면 특성을 개선하는 데 사용되며, 대기 플라즈마 용 사(Atmospheric Plasma Spray, APS)에 의해 증착된 코팅 보다는 고속 산소 연료 용사법(High-Velocity Oxygen-Fuel, HVOF)에 의해 증착된 코팅이 더욱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HVOF 코팅 기술은 고온 고 속의 가스를 사용하여 소재를 분사하여 코팅하는 방식으 로 APS에 비해 코팅의 밀도가 높고, 기공이 적으며, 접합 강도가 높은 고경도의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15].
본 연구에서는 WC 기반 복합 조성의 치밀한 코팅층 제 조에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는[16-18] HVOF 용사 기법을 사용하여, 내마모성과 마찰력을 향상시키고 오염 입자 발 생을 줄이기 위한 코팅 시편을 제작하였다. 또한, Cr3C2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WC 기반 복합 조성에서 Cr3C2의 첨가 량에 따른 마찰 및 마모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디 스크와 패드의 마찰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영향으로 제동 시 발생하는 마모 입자 발생을 줄이기 위해[19], 열전도도 가 낮고 상안정성과 파괴인성이 높은 이트리아 안정화 지 르코니아(Yttria Stabilized Zirconia, YSZ)가 첨가된 WC 기반 복합 조성을 개발하였다[20]. 이후 코팅 층의 미세조 직 관찰 및 상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마찰 및 마모 거동 비 교 분석을 위해 상온의 건식 환경에서 Ball-on-disk 방식으 로 마찰 및 마모 시험을 수행하였다.
2.1. HVOF 코팅 및 시편 전처리
조성에 따른 코팅층의 물성 분석을 위하여 회주철 (GC170)로 제작된 직경 30 mm, 두께 10mm의 시편을 코 팅 모재로 사용하였다. 앞선 연구에서 선정한 조성인 WCNi- Cr에 Cr3C2를 20vol% 첨가한 조성에서 Cr3C2의 첨가량 조절시 코팅층의 물성 변화 분석을 위하여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조성 설계를 진행하였다. 설계한 조성에 맞추어 구형 과립으로 된 평균 입도가 45 μm인 WC-Ni-Cr, Cr3C2, YSZ (Praxair, USA) 분말들을 부피비에 따라 혼합을 하였 다. 혼합된 분말은 HVOF(JP8000, Praxair, USA)장비를 사 용하여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조건으로 용사 코팅을 진 행하였다. 코팅된 시편은 #8000 이상의 Diamond Wheel로 경면 연마하여 가공하였으며, 표면조도측정기(SURFTEST SJ-410, Mitutoyo, Japan)를 사용하여 그림 1과 같은 조도 수준을 확인하였다.
Table 1
Mixing condition of coating powder
Sample ID Based Added Powder Used Reference

WC-Ni-Cr + 20% Cr3C2 WC-Ni-Cr Cr3C2 20vol% WC-733, CRC-105 [10]
WC-Ni-Cr + 10% Cr3C2 WC-Ni-Cr Cr3C2 10vol% WC-733, CRC-105 This study
WC-Ni-Cr + 5% Cr3C2 WC-Ni-Cr Cr3C2 5vol% WC-733, CRC-105 This study
WC-Ni-Cr + 20% YSZ WC-Ni-Cr YSZ 20vol% WC-733, ZRO-271-3 This study
Table 2
Parameters of the HVOF spraying process
Gun Type/Barrel Size 5220/4”
Fuel Rate [GPH] 6
Oxygen Gas Flow [SCFH] 2000
CCP [psi] 105
Spray Distance [mm] 380
Pitch [mm] 5
Velocity [mm/s] 300
Fig. 1
Results of Surface roughness.
KPMI-30-5-415_F1.gif
2.2. 마찰 및 마모 시험(Ball-on-disk)
코팅 시편의 마찰 및 마모 거동 분석을 위해 마모 시험 기(MPV 110, Neoplus, Korea)를 사용하여 Ball-on-disk 방 법으로 마찰 및 마모 시험을 진행하였다. 마찰 및 마모 시 험은 직경 12.7 mm의 질화규소 볼(Si3N4 Ball, BNBINT, Korea)을 사용하였으며, 하중 20N, 거리 1000 m, 속도 100 RPM의 조건으로 KS L 1606 표준에 맞춰 분석을 진 행하였다. 마찰 및 마모 시험 후, 시험편의 비마모량을 계 산하기 위해 Surface Profiler(Alpha-Step, ET3000, Kosaka Laboratory Ltd., Japan)를 사용하여 마모흔을 측정하여 마 모체적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결과를 바탕으로 식(1)식(2)를 사용하여 마찰 및 마모 시험 후 시편의 비마모량을 계산하였다.
(1)
KPMI-30-5-415_EQ1.gif
  • Vdisk : 원판 모양 시험편의 마모 체적(m3)

  • R : 마모 흔적 원의 반지름(m)

  • S1-S4 : 마모 흔적 원의 4곳의 단면적(m2)

(2)
KPMI-30-5-415_EQ2.gif
Ws(disk) : 원판 모양 시험편의 비마모량(m2/N)
P : 하중(N)
L : 섭동 거리(m)
2.3. 코팅 시편 분석
코팅 후 시편의 상형성 거동 분석을 위해 X-Ray Diffraction( XRD, RINT-2500HF, Rigaku, Japan)를 40 kV, 200mA 로 설정하고 20~80° 영역을 10°/min의 속도로 분석하였다. 또한, 코팅 층의 두께와 분포된 조성의 균일성을 파악하기 위해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JSM-6390, JEOL, Japan)을 사용하여 시편의 단면을 분석 하였으며, 마찰 및 마모 시험 후 코팅층의 박리 여부를 확 인하기 위하여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법(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Oxford Instruments, United Kingdom) 을 사용하여 회주철 검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시편의 코팅 층과 상대재인 질화규소볼의 경도는 마이크로 비커 스 경도측정기(HMV-2 T E, Shimadzu, Japan)를 사용하여 200 g.f 하중으로 각각 5회씩 측정하였다.
3.1. 상형성 분석 결과
코팅 후 표면 연마가 완료된 시편에 대한 XRD 분석 결 과를 그림 2에 나타냈다. 모든 코팅 시편(Cr3C2 20 vol%, Cr3C2 10 vol%, Cr3C2 5 vol%, YSZ 20 vol%)에서 WC 상 과 NiCr2O4 상이 공통적으로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NiCrO4 상의 경우에는 HVOF 용사 분위기 속에서 고 에 너지 상태의 Ni-Cr binder가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이 형 성된 것으로 보인다. WC-Ni-Cr +5vo l% Cr3C2 코팅을 제 외한 모든 코팅(Cr3C2 20 vol%, Cr3C2 10 vol%, YSZ 20 vol%)에서는 W2C 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W2C 상의 형 성은 구조적 특성상 고체 윤활 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 져 있으나[10], brittle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Ni-Cr과 같 은 금속 binder의 분리(debonding)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이러한 W2C은 고온 고압의 HVOF 공정 중 산소와 WC가 반응하여 아래 식(3)과 같은 WC의 탈탄 화(decarburisation)가 발생하며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17].
Fig. 2
XRD analysis of Coating Samples.
KPMI-30-5-415_F2.gif
(3)
KPMI-30-5-415_EQ3.gif
WC-Ni-Cr +20 vol% Cr3C2 코팅에서는 Cr2C 상과 NiWO4 상이 관찰되었다. Cr2C 상과 같은 Cr계 탄화물은 WC 및 W2C에 비해 낮은 경도를 가지고 있으나, Ni-Cr과 같은 금 속 binder와 함께 우수한 바인더-스플렛 계면(intersplat) 특 성을 가져서 내마모성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또한, NiWO4 상은 산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HVOF 공정 중 아래 식(4, 5)처럼 같은 WC와 Ni-Cr binder의 산화 과 정에서 발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4)
KPMI-30-5-415_EQ4.gif
(5)
KPMI-30-5-415_EQ5.gif
WC-Ni-Cr +2 0 vol% Cr3C2 코팅을 제외한 모든 코팅 (Cr3C2 10 vol%, Cr3C2 5 vol%, YSZ 20 vol%)에서 XRD 분석 결과 WC의 Hexagonal 결정상과 Cubic 결정상이 함 께 관찰되었다. 특히 WC-Ni-Cr에 Cr3C2를 5 vol%, 10 vol% 첨가한 코팅에서는 어깨 피크 형성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결정 구조 내에 비정질 상도 함께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피크들의 폭이 넓은 것은 HVOF 공정의 빠 른 냉각 속도와 고온 고압의 조건으로 인해 해당 위치에 다양한 결정 구조나 고용체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보여 준다.
그러나 제조된 모든 코팅에서는 별도로 5~20vol%씩 첨 가된 물질(Cr3C2, YSZ)에 대한 상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 았는데, 이는 코팅 공정의 특성상 Cr3C2나 YSZ 같은 첨가 제가 XRD 분석 시 별도의 상으로 나타날 정도로 충분하 지 않아 XRD 분석 시 단일 상으로 검출이 되지 않은 것 으로 보인다. 또한 Cr3C2의 경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코팅 형성 과정에서 WC-Ni-Cr 매트릭스 상의 형성, 탄화 물 형성 또는 반응 생성물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YSZ의 경우 높은 융점을 가지고 있고 이로 인하여 HVOF 공정 중에 splat 형성이 어렵기 때문에 코팅 내 YSZ 함량 이 초기에 제조된 분말의 함량보다 낮은 것으로 보인다.
3.2. 미세 구조 분석 결과
그림 3은 각 코팅 조성의 코팅 층 단면에 대한 BSE (Back-Scattered Electrons)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제조된 모든 코팅 시편의 단면 분석 결과, HVOF 코팅 및 표면 처리 후 코팅 층의 평균 두께가 100 μm 이상인 것을 확인 했다. 또한 BSE 분석 결과 모든 조성의 코팅 층에서 WC, Ni, Cr 등의 원소들이 코팅 층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 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장 밝게 보이는 영역은 WC이 며, 회색으로 보이는 영역은 Ni-Cr binder로 식별된다. 가 장 어둡게 보이는 영역은 각 코팅에서 형성되는 결정상에 따라서 가장 가벼운(낮은 원자번호의) 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 3(a)에서는 Cr2C의 상이 가장 어두 운 영역으로 식별될 수 있으며, 그림 3(b, c, d)에서는 NiCr2O4의 상이 가장 어두운 영역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 중 YSZ의 코팅 증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면에 대하 여 EDS 분석을 진행한 결과를 그림 4와 같이 나타내었다.
Fig. 3
Cross-section BSE images of (a) WC-Ni-Cr + 20% Cr3C2, (b) WC-Ni-Cr + 10% Cr3C2, (c) WC-Ni-Cr + 5% Cr3C2, (d) WC-Ni-Cr + 20% YSZ.
KPMI-30-5-415_F3.gif
Fig. 4
Cross-section EDS images of WC-Ni-Cr + 20% YSZ.png
KPMI-30-5-415_F4.gif
EDS 분석 결과 Zr 및 Y이외에 다른 원소들은 모두 확 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YSZ가 앞선 XRD 분석 결과와 동일하게 고융점 소재로 HVOF 용사 코팅을 통해 모든 코 팅층에 대해 splat 형성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극 소량만 코팅층에 잔여하여 코팅층의 물성 변화 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3.3. 경도 측정 결과
그림 5는 시편의 코팅 층과 상대재에 대한 경도 그래프 를 나타낸다. 코팅 시편의 상대재인 Si3N4 Ball의 경도는 다른 코팅 시편에 비해 1.3배 이상 높은 15 GPa의 경도를 나타냈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의 상대재는 마찰 시 재료 표면에 더 큰 압력을 가해 마모 거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Fig. 5
Results of Vickers hardness.
KPMI-30-5-415_F5.gif
WC-Ni-Cr에 YSZ를 첨가한 조성에서는 10.66 GPa의 경 도 값을 확인했다. 이는 WC-Ni-Cr에 Cr3C2를 첨가한 코팅 층의 경도 값 보다 낮은 값임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YSZ가 WC-Ni-Cr에 소량으로 첨 가됨에 따라 코팅층 전체의 경도가 낮아져 나타난 현상으 로 보이며, 또한 내/외부 고상분율이 다른 YSZ 분말이 적 층 시에 미 용융된 부분으로 남아있으면서 코팅의 splat 구조 형성을 방해하면서 코팅 층의 밀도 감소와 기공율 증가에 영향을 미쳐 경도를 낮춘 것으로 보인다[21].
또한 Cr3C2의 경우 WC의 상분해를 억제하고 WC계 복 합 조성 코팅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2]. 하지만 일정 양이 첨가된 복합 조성의 경우 Cr3C2가 코팅층 전체의 물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으나, 첨가량이 과도해질 경우 WC 혹은 W2C보다 경도 가 낮은 Cr3C2의 영향으로 인하여 코팅층 전체의 경도가 낮아 질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Cr3C2 첨가량에 따른 경 도 변화를 확인해 보면 Cr3C2가 10vol%가 첨가된 조성이 11.45GPa로 경도가 제일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Cr3C2가 20vol%가 첨가되었을 때 11GPa로 가장 낮은 것 을 알 수 있다. 이는 Cr3C2의 첨가량이 10vol% 일 때 복 합조성 코팅층의 경도가 극대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4. 마찰계수 분석 결과
마찰 및 마모 시험 후 측정된 마찰계수를 그림 6과 같 이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모든 코팅 시편 중에서는 WCNi- Cr에 YSZ를 20vol% 첨가한 코팅 시편이 가장 높은 마 찰계수를 보였으며, WC-Ni-Cr에 Cr3C2를 첨가한 코팅 시 편 중에서는 Cr3C2를 5 vol% 첨가한 코팅 시편이 가장 높 은 마찰계수를 보였다.
Fig. 6
Results of friction coefficient of coating samples.
KPMI-30-5-415_F6.gif
마찰계수 분석 그래프 그림 7에 따르면, WC-Ni-Cr에 Cr3C2를 5 vol% 첨가한 코팅 시편이나 WC-Ni-Cr에 YSZ 를 20 vol% 첨가한 코팅 시편의 마찰계수 그래프에서는 마찰 및 마모 시험 초기에 마찰계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rooster tailing 현상을 보여주었다[14, 23]. 이러한 초기 마 찰계수는 표면 거칠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23]. WC-Ni-Cr에 Cr3C2를 10 vol% 첨가한 코팅 시편은 400m 이후 마모 구간에서 마찰계수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fading 현상을 보여주었다. fading 현상은 마찰재 가 마찰특성을 상실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현상으로 알려 져 있으며[23],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이유는 다른 조성 대비 WC-Ni-Cr에 Cr3C2를 10 vol% 첨가한 조성이 높은 경도를 가져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이와 동시에 마찰 및 마모 시험 시 시편(마찰재)과 볼(상대재) 사이에서 불안정 한 마찰현상으로 인하여 시편의 표면에 형성된 불균질한 마찰막이 마찰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마찰 계면에서 마찰 막이 박리되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보인다[23]. WC-Ni-Cr 에 Cr3C2를 20 vol% 첨가한 조성에서는 마찰 마모 시험 초기부터 안정적인 마찰계수를 보여주었지만, 다른 조성 들과 비교하였을 때 가장 낮은 마찰계수가 측정되었다. 이 러한 결과를 통해 Cr3C2의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마찰계수 가 낮아지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Cr3C2의 첨가량 이 마찰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7
Results of wear test of coating samples.
KPMI-30-5-415_F7.gif
3.5. 비마모량 측정 결과
미세먼지 배출량의 저감을 위한 친환경 브레이크 디스 크에 사용되는 표면 코팅에서 비마모량(specific wear rate) 은 미세입자 배출과 관련된 주요한 변수로서, 적정 수준의 마찰 계수와 함께 적은 비마모량을 갖는 소재의 특성이 요구된다[10]. 마모 시험 후 측정한 코팅 시편의 비마모량 은 그림 8과 같이 정리하였다. 계산 결과, Cr3C2를 첨가한 WC-Ni-Cr 코팅 시편은 Cr3C2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비 마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Cr3C2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낮아지는 마찰계수와 반비 례 관계로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WC-Ni-Cr에 YSZ를 20 vol% 첨가한 코팅 시편의 경우에는 WC-Ni-Cr에 Cr3C2 를 5 vol% 첨가한 코팅 시편과 마찰 계수가 유사하나 비 마모량은 YSZ가 첨가된 조성이 Cr3C2가 5vol% 첨가된 조 성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모흔의 깊이를 표면 위의 단차 두께로 측정하는 비마모량 계산 방법의 특성상 비마모량이 더 적게 측정될 수 있다. 응착 마모(adhesive wear)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표면에 재료가 옮겨 붙거나하 는 마모 부스러기(wear debris)가 응착되는데, 이로 인해서 비마모량이 더 적게 측정된 것으로 보인다. 응착(adhesion) 은 van der Wals 힘과 1 nm 정도의 거리에서 작용하는 강 한 표면력(전자기장, 전장, 이동전자, 전자공유)에 의해 발 생하기 때문에 표면이 산화막에 덮여 있지 않을수록 응착 이 더욱 잘 일어나게 된다[19]. 그렇기 때문에, 마찰 계수 가 유사한 두 복합 조성 코팅(WC-Ni-Cr +5 vol% Cr3C2, WC-Ni-Cr +20 vol% YSZ) 사이에서 YSZ를 첨가한 조성 이 Cr3C2를 첨가한 조성에 비해서 더 높은 산화 저항성을 가지는 것을 유추해볼 수 있다.
Fig. 8
Results of specific wear rate of coating samples.
KPMI-30-5-415_F8.gif
3.6. 마모면 분석 결과
마모 거동 분석을 위해 마모 시험 후 표면상태의 SEM 이미지를 그림 9에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모든 표면에서 wear debris가 adhesion된 adhesive wear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WC-Ni-Cr +5 vol% Cr3C2 코팅과 WC-Ni- Cr +20 vol% YSZ 코팅의 마모면에서는 물체 간의 마찰이 일어나면서 재료 한 쪽이 다른 재료 쪽으로 눌러붙는 galling 현상이 더욱 뚜렷하게 관찰되었다[24]. 이러한 galling 현상은 코팅 시편의 높은 마찰 계수가 원인인 것 으로 보인다.
Fig. 9
SEM images of wear track of (a) WC-Ni-Cr + 20% Cr3C2, (b) WC-Ni-Cr + 10% Cr3C2, (c) WC-Ni-Cr + 5% Cr3C2, (d) WC-Ni-Cr + 20% YSZ.
KPMI-30-5-415_F9.gif
Fig. 10
SEM-EDS results of wear track of WC-Ni-Cr + 5% Cr3C2.
KPMI-30-5-415_F10.gif
Fig. 11
SEM-EDS results of wear track of WC-Ni-Cr + 20% YSZ.
KPMI-30-5-415_F11.gif
이에 galling 현상이 뚜렷하게 관찰된 두 마모면에서는 추가적으로 EDS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EDS 분석 결과 그 림 10, 11과 같이 두 마모면에서 모두 Si 원소와 O 원소 가 함께 검출되었다. 이러한 Si 원소는 상대재인 질화규소 볼로부터 galling된 것으로 보이며, O 원소는 코팅 층과 볼의 마찰 및 마모 시험 중 마찰열에 의해 식(6)과 같이 형성된 SiO2로부터 검출된 것으로 보인다[25]. 이러한 산 화물 피막의 형성은 마찰 및 마모 거동에서 고체 윤활제로 작용하여 마찰계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6].
(6)
KPMI-30-5-415_EQ6.gif
또한 WC-Ni-Cr + 20 vol% YSZ 코팅의 마모면에서는 YSZ의 원소인 Y와 Zr가 EDS 분석에서 검출되었으며, 이 러한 YSZ 조성은 산화막과 같은 표면 피막의 형성을 억 제하여 응착 현상의 촉진 및 마찰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의 미세먼지 저 감 및 제동성능 향상을 위해 HVOF 코팅 기술을 활용하 여 WC-Ni-Cr 기반의 복합 조성 코팅 시편을 제작하고 마 찰 및 마모 시험을 통해 물리적 및 마찰과 마모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 1. WC-Ni-Cr에 Cr3C2를 20 vol% 첨가한 코팅은 Cr3C2의 과도한 첨가로 인하여, WC-Ni-Cr에 Cr3C2를 첨가한 코팅들 중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값을 보였으나, 전체 코팅 중 가장 적은 비마모량을 보였다.

  • 2. WC-Ni-Cr에 Cr3C2를 10 vol% 첨가한 코팅은 binder 효과의 극대화로 인하여, WC-Ni-Cr에 Cr3C2를 첨가 한 코팅들 중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값을 보였으나, 마찰 및 마모 시험 중 fading 현상을 보였다.

  • 3. WC-Ni-Cr에 Cr3C2를 5vol% 첨가한 코팅은 마찰 및 마모 시험 중 안정적인 마찰 거동과, WC-Ni-Cr에 Cr3C2를 첨가한 코팅들 중 상대적으로 높은 마찰계수 를 보였으나, 전체 코팅 중 가장 많은 비마모량을 보 였다.

  • 4. WC-Ni-Cr에 YSZ를 20 vol% 첨가한 코팅은 산화물 피막의 형성으로 인하여, 전체 코팅 중 가장 높은 마 찰계수를 보였으나, WC-Ni-Cr에 Cr3C2를 20 vol% 첨 가한 코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비마모량을 보 였다.

  • 5. 미세먼지 저감을 달성하기 위해 WC-Ni-Cr에 Cr3C2를 20 vol% 첨가한 복합 조성과 WC-Ni-Cr에 YSZ를 20 vol% 첨가한 복합 조성을 브레이크 디스크용 코팅 재료로써 사용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실형상 테스트와 같은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하다.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혁신사업 기술개발 - 수송분야 비배기관 미세먼지 저감 사업(#20003589)의 연 구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 1. F. Yan, D. Guo, H. Wei, Y. Guo, C. Wang, Z. Yin, M. Li, X. Hou and Y. Long: E3S Web of Conferences, 268 (2021)..Article
  • 2. A. Kotlyarenko and A. Kolesnikov: Earth Environ. Sci., 867 (2021) 012096..Article
  • 3. G. Y. Ham: M.S. Thesis, Assessments of Fine Particle in Automotive Brake Systems, Ajou University, Gyeonggido (2022)..
  • 4. S. M. Lee, J. H. Park, K. H. Nam, C. H. Yoo and S. S. Park: Tribol. Lubr., 34 (2018) 55..
  • 5. S. H. Woo, H. J. Jang, S. B. Lee and S. Lee: Sci Total Environ., 842 (2022) 156961..ArticlePubMed
  • 6. J. Kukutschova, P. Moravec, V. Tomasek, V. Matejka, J. Smolik, J. Schwarz, J. Seidlerova, K. Safarova and P. Filip: Environ Pollut., 159 (2011) 998..ArticlePubMed
  • 7. S. M. Mulani, A. Kumar, H. N. E. A. Shaikh, A. Saurabh, P. K. Singh and P. C. Verma: Mater. Today Proc., 56 (2022) 447..Article
  • 8. I. J. Choi: M.S. Thesis,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Surface Roughness Effect on the Friction Coefficient of a Brake Disc,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2003)..
  • 9. S. Dizdar, Y. Lyu, C. Lampa and U. Olofsson: Atmosphere, 11 (2020)..Article
  • 10. S. Y. Hong, S. Nahm and Y. S. Oh: J. Korean Ceram. Soc., 59 (2022) 465..Article
  • 11. Y. J. Kang, G. S. Ham, H. J. Kim, S. H. Yoon and K. A. Lee: J. Powder Mater., 25 (2018) 408..Article
  • 12. H. Czichos: Introduction to Friction and Wear, Composite Materials Series, 1 (1986) 1..Article
  • 13. P. Chandra Verma, L. Menapace, A. Bonfanti, R. Ciudin, S. Gialanella and G. Straffelini: Wear, 322-323 (2015) 251..Article
  • 14. B. B. Kang and H. Lee: ASIATRIB 2002 International Conference Jeju, Korea, (2002) 429..
  • 15. S. Y. Hwang and H. G. Seok: Korea, 2005, M102K001 0009-04K1501-00900 (2005)..
  • 16. S. S. Lee: J. Kor.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 21 (2020) 204..
  • 17. D. Stewart, P. Shipway and D. McCartney: Wear, 225 (1999) 789..Article
  • 18. Q. Yang, T. Senda and A. Ohmori: Wear, 254 (2003) 23..Article
  • 19. S. C. Lee: M.S. Thesis, A Study on Wear Properties of GCV Materials with DLC Coat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2011)..
  • 20. Y. S. Choi, G. W. Lee, C. W. Jeon, S. Nahm and Y. S. Oh: J. Surf. Sci. Eng., 55 (2022) 368..
  • 21. J. M. Guilemany, N. Espallargas, P. H. Suegama, A. V. Benedetti and J. Fernández: J. Therm. Spray Technol., 14 (2005) 335..Article
  • 22. H. L. Yao, C. Yang, D. L. Yi, M. X. Zhang, H. T. Wang, Q. Y. Chen, X. B. Bai and G. C. Ji: Surf. Coat. Technol., 397 (2020)..
  • 23. H. Jang: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Korean Tribology Society, (1997) 47..
  • 24. H. W. Kwon, Y. J. Jeong, N. R. Kim and Y. S. Kim: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ity and Materials Processing Fall Conference Proceedings, (2013) 209..
  • 25. S. Jahanmir: Friction and Wear of Ceramics, CRC Press, (1993)..Article
  • 26. Y. S. Oh, Y. H. Yang, I. W. Lyo, S. J. Park and D. S. Lim: Korean J. Met. Mater., 50 (2012) 549..Article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Cite this Article
        Cite this Articl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Tribological Behavior Analysis of WC-Ni-Cr + Cr3C2 and WC-Ni-Cr + YSZ Coatings Sprayed by HVOF
        J Powder Mater. 2023;30(5):415-423.   Published online October 1, 2023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Tribological Behavior Analysis of WC-Ni-Cr + Cr3C2 and WC-Ni-Cr + YSZ Coatings Sprayed by HVOF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Fig. 1 Results of Surface roughness.
      Fig. 2 XRD analysis of Coating Samples.
      Fig. 3 Cross-section BSE images of (a) WC-Ni-Cr + 20% Cr3C2, (b) WC-Ni-Cr + 10% Cr3C2, (c) WC-Ni-Cr + 5% Cr3C2, (d) WC-Ni-Cr + 20% YSZ.
      Fig. 4 Cross-section EDS images of WC-Ni-Cr + 20% YSZ.png
      Fig. 5 Results of Vickers hardness.
      Fig. 6 Results of friction coefficient of coating samples.
      Fig. 7 Results of wear test of coating samples.
      Fig. 8 Results of specific wear rate of coating samples.
      Fig. 9 SEM images of wear track of (a) WC-Ni-Cr + 20% Cr3C2, (b) WC-Ni-Cr + 10% Cr3C2, (c) WC-Ni-Cr + 5% Cr3C2, (d) WC-Ni-Cr + 20% YSZ.
      Fig. 10 SEM-EDS results of wear track of WC-Ni-Cr + 5% Cr3C2.
      Fig. 11 SEM-EDS results of wear track of WC-Ni-Cr + 20% YSZ.
      Tribological Behavior Analysis of WC-Ni-Cr + Cr3C2 and WC-Ni-Cr + YSZ Coatings Sprayed by HVOF
      Sample ID Based Added Powder Used Reference

      WC-Ni-Cr + 20% Cr3C2 WC-Ni-Cr Cr3C2 20vol% WC-733, CRC-105 [10]
      WC-Ni-Cr + 10% Cr3C2 WC-Ni-Cr Cr3C2 10vol% WC-733, CRC-105 This study
      WC-Ni-Cr + 5% Cr3C2 WC-Ni-Cr Cr3C2 5vol% WC-733, CRC-105 This study
      WC-Ni-Cr + 20% YSZ WC-Ni-Cr YSZ 20vol% WC-733, ZRO-271-3 This study
      Gun Type/Barrel Size 5220/4”
      Fuel Rate [GPH] 6
      Oxygen Gas Flow [SCFH] 2000
      CCP [psi] 105
      Spray Distance [mm] 380
      Pitch [mm] 5
      Velocity [mm/s] 300
      Table 1 Mixing condition of coating powder

      Table 2 Parameters of the HVOF spraying process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TOP